급증하는 ‘파생결합사채’ 주의보
상태바
급증하는 ‘파생결합사채’ 주의보
  • 이경호 기자
  • 승인 2022.12.16 0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생결합사채는 원리금이 일부 또는 전부 상환되지 않을 위험이 내재한 상품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파생결합사채는 원리금이 일부 또는 전부 상환되지 않을 위험이 내재한 상품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발행 및 판매가 늘고 있는 ‘파생결합사채’로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파생결합사채란 기초자산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정해진 수익률을 얻는 사채다. 기초자산이 주가지수 또는 개별주식이냐, 금리·원자재·환율이냐에 따라 각각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와 기타파생결합사채(DLB)로 나뉜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0~11월 5조6000억원의 파생결합사채가 순발행됐다. 올해 2분기 순발행 금액(3000억원)의 10배가 넘는 규모다.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금감원은 파생결합사채는 원리금이 일부 또는 전부 상환되지 않을 위험이 내재한 상품이란 점을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증권사가 파산하면 투자원금과 수익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원리금 보장형 상품이지만 예금자 보호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기초자산의 안정성과 원리금 상환 가능성은 무관하다는 점도 알아둬야 한다. 우량기업의 주가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상품이더라도 원리금 상환 여부는 발행사인 증권사의 지급 여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도환매 때 상환 비용이 발생한다. 중도 상환을 신청하면 상환 비용이 차감된 금액이 지급되는 만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금감원은 “투자설명서, 판매사 설명 등을 통해 상품의 손익구조, 기초자산, 발행사(증권회사) 신용등급, 유동성 리스크, 지급 여력 및 건전성 지표 등을 충분히 이해한 후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