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강타한 ‘코로나 실직’
상태바
비정규직 강타한 ‘코로나 실직’
  • 이경호 기자
  • 승인 2020.10.07 08: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래픽=뉴스웰, 이미지 출처=MediaSevenGetty Image
/그래픽=뉴스웰, 이미지 출처=MediaSevenGetty Image

코로나19로 인한 실직 영향을 비정규직 등 노동시장 내 취약 계층이 더 크게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가 최근 발표한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3차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7~10일 19~55세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8개월 동안 비자발적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정규직 여부에 따라 약 7배 차이가 났다.

실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15.1%로, 지난 6월 같은 문항에 대한 응답률 12.9%보다 다소 올랐다. 이 중 비정규직의 실직 경험이 31.3%에 해당하는 반면, 정규직은 4.3%로 집계돼 차이가 컸다. 비자발적 휴직 경험의 경우에도 정규직, 비정규직 간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직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전체 18.4%였으며 비정규직은 31.3%, 정규직은 9.7%로 조사됐다.

실업·휴직에 따른 구제 또한 문제로 지적됐다. 실직 경험 직장인 가운데 80.8%는 '실업급여를 받지 못했다'라고 답했는데, 사유로는 ▲고용보험 미가입 ▲수급자격 미충족 ▲자발적 실업으로 분류 등이 언급됐다. 직장갑질119는 "코로나19로 회사가 어려워졌을 때 비정규직은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휴업수당을 받을 수 없고, 실직했을 때 실업급여도 받지 못한다는 것이 설문조사에서 확인됐다"라고 말했다.

향후 노동 환경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상당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고용관계 변화 방향에 관한 질문에 정리해고·구조조정 30.3%, 비정규직화 등 고용형태 악화 24%, 임금 삭감 14.6% 등의 응답 비중을 보였다.

직장갑질119는 "정부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일자리 위기 대응에 대해 비정규직은 55.5%가 잘못하고 있다고 답한 데 비해 정규직은 50.2%가 잘하고 있다는 답변을 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일터의 약자들은 회사의 부당한 대우에 맞서기 어려워하는 모습이 있다"라며 "해고 예방을 위한 정책으로 정규직화, 고소득자 추가 세금, 비정규직 소득보전금 지급, 일시적 해고 금지 순으로 답변했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