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 돈줄” 포스코, 최정우 취임후 ‘16명’ 사망
상태바
“미얀마 군부 돈줄” 포스코, 최정우 취임후 ‘16명’ 사망
  • 김인수 기자
  • 승인 2021.06.24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정우 회장 “기업시민이 이념, 안전설비 강화에 1조3000억 투자”
청문회서 “무재해 현장 만들겠다” 공언한 뒤 한달도 안돼 사망사고
국회 “산재사고 재발 방지 약속한 최 회장의 사과는 새빨간 거짓말”
문 대통령 “추락·끼임사고와 같은 후진적 산재사고 대책 마련” 지시
“포스코인터내셔널, 미얀마 군부에 3000억원 배당금… 자금줄 역할”
최정우 포스코 회장/사진=포스코
최정우 포스코 회장/사진=포스코

미얀마 군부와 결탁해 군부의 자금줄 역할을 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포스코가 정작 우리나라 노동자들을 위한 안전정치에는 소홀하고 있다는 비판에 휩싸이고 있습니다.

특히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취임한 2018년 7월 이후 포스코 제철소에서 16명의 노동자가 사망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면서 최 회장이 내걸고 있는 ‘기업시민’ 이념까지 무색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정우 회장은 안전시설 강화를 위해 1조3000억원을 쏟아 부었으나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면서 해당 비용 사용처에 대한 궁금증도 증폭되고 있습니다.

포스코 포항 제철소에서는 지난 23일 오후 2시쯤 이산화탄소 가스가 방출되는 사고로 협력사 직원 2명이 의식을 잃고 1명은 호흡곤란 증상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행히 인근 소방서가 신속하게 출동해 전원 구조했고,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문제는 지난 17일 국민의힘 환경노동위원회가 중대재해가 다수 발생한 포항제철소의 산업재해 현장 점검을 나선 지 엿새 만에 중대재해가 발생해 보여주기식 현장점검이 아니었냐는 지적입니다. 이날 국회의원들의 현장 방문은 정작 당사자인 노동자들이 빠진 상태로 진행돼 생색내기용이라는 논란도 일었습니다.

한대정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부위원장은 “현장 상황을 제대로 알려면 현장을 잘 아는 노동자를 만나야 하는데, 회사 임원들과 이야기 나누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면서 “산재 예방을 위해선 노동자들과 소통해야 하는데, 이러한 노력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현장 점검을 해도 바뀌는 게 있을지 의문이다”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면서 “사용자 의견만 듣는 현장 방문으로는 노동 환경이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불행히도 이번에 포항제철소에서 또 산재사고가 발생하면서 한대정 노조 부위원장의 발언이 맞아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포항 제철소에서는 앞서 올해 2월 사망사고도 발생했는데요. 지난 2월 8일 포항 제철소에서 설비기계 교체작업을 하던 협력업체 직원이 기계에 끼여 숨지는 사망사고가 일어난 것입니다. 최정우 회장은 같은 달 16일 포항 제철소 원료부두 사고현장을 방문해 유족들과 국민들에게 사과도 했습니다.

계속되는 투자에도 사고가 발생하자 최정우 회장은 지난 2월 22일 산재 청문회장에 소환되기까지 했습니다. 이날 최 회장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무재해 현장을 만들겠다“고 공언했습니다. 하지만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 회장이 최근 숨진 노동자의 조문을 가지 않은 점을 거론하며 “대국민 사과는 대국민 생쇼라고 볼 수밖에 없다”라고 비판했습니다.

노웅래 의원의 말처럼 최정우 회장의 발언은 ‘생쇼’가 돼버렸습니다. 청문회 이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3월 16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내 포스코케미칼에서 협력업체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또 다시 발생한 것입니다.

사고가 발생한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은미·노웅래·윤미향·임종성·장철민 의원 등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에서 사상 처음 열린 산재청문회가 끝난 지 한 달도 안 된 시점에서 사고가 발생했다”라면서 “국민들 앞에선 산재를 줄이고 재발방지를 약속했던 최 회장의 사과는 그야말로 새빨간 거짓말이었다”고 힐난했습니다.

의원들은 포스코가 안전투자비용으로 쏟아 부었다는 1조3000억원에 대해서도 의문점을 지적했습니다. 의원들은 “막상 기존 설비보수 및 투자내역만 있을 뿐 어떤 시설에 얼마나 투자했는지에 대해 여전히 제출하지 않고 있다”면서 “법적으로 작성·보관하도록 돼 있는 위험성 평가보고서 역시 오탈자까지 복사해서 방치하다 산재청문회를 앞두고 전 직원들에 메일로 조작명령을 내렸던 곳이 포스코다”라고 비판했습니다.

포스코 제철소에서의 끊임없는 노동자 사망사고는 안전조치나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 후진국형 재해라는 지적입니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에서는 산업재해 가운데 추락과 충돌, 끼임과 넘어짐, 낙하물 충돌 등을 ‘5대 후진국형 재해’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포스코 노조에 따르면 2018년 7월 27일 이후 올해 5월까지 산업재해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한 노동자는 모두 105명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5대 후진국형 재해로 인한 부상 혹은 사망한 노동자는 54명으로 51.42%입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후진국형 사고에 대해서 철저한 대책마련을 주문하고 나섰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11일 국무회의에서 “추락사고나 끼임사고와 같은 후진적 산재사고 때문에 마음이 아프다”며 안경덕 신임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산재 예방을 위한 강력한 대책 마련을 지시한 것입니다.

최정우 회장은 지난해 12월 향후 3년간 안전투자에 1조원을 들이겠다고 약속한 데 이어 올해 초 신년사에서도 안전을 최우선 핵심가치로 삼겠다고 역설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끊임없는 안전사고, 특히 후진국형 안전사고가 발생하면서 최정후 회장의 ‘약속(公言)’은 ‘헛말(空言)’이 되어버린 듯합니다. 포스코는 노동계가 뽑은 ‘2021년 최악의 살인기업’ 2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편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포스코의 자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얀마 군부에 3000억원이 넘는 배당금을 지급했다”며 “미얀마 시민들이 피흘려 싸우고 있는데 정작 우리 기업들은 미얀마 군부의 자금줄 역할을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