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뿌리 ‘정관장’ 유지하는 KGC인삼공사의 속내
상태바
일제 뿌리 ‘정관장’ 유지하는 KGC인삼공사의 속내
  • 김인수 기자
  • 승인 2019.12.17 14:3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홍삼 유통 통제 위해 ‘정관장’ 명칭 사용
전범기업 ‘미쓰이’ 유통 독점권… 인삼공사 홈피 '정관장 유래' 삭제
‘일본 브랜드’ 오해… 공사 명칭에 공기업 오인, KT&G 100% 자회사
외국인 46.73% 지분, 매년 수천억원 씩 배당… 일본 자본은 ‘베일’
사진=KGC인삼공사 홈페이지
사진=KGC인삼공사 홈페이지

“한국인삼공사(KGC인삼공사)의 ‘정관장’은 일본자본이 들어간 일본 제품이다.” “정관장을 먹으면 일본으로 돈이 나간다.”

최근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들불처럼 번지면서 생긴 오해인데요. 일각에서는 일본자본이 60~70%까지 투입됐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었죠. 이 때문에 한 때 인터넷을 중심으로 정관장이 ‘일본 브랜드’라는 오해를 받은 것이죠.

사실이 아닙니다. 외국인투자비율이 한때 59.98%까지였다가 현재는 46.73%로 외국인 지분이 높은 것은 맞지만 일본자본 비율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관장이 일제 침탈의 잔재인 것은 사실입니다. 일제강제병합 후 조선총독부에서 생산·유통을 통제한다, 즉 관에서 통제한다는 의미로 ‘정관장(正官庄)’이란 명칭을 사용했었습니다. 당시 일본기업 미쓰이(삼정물산)가 유통 독점권을 가졌다고 합니다. 미쓰이는 우리의 홍삼을 중국과의 무역으로 막대한 이익을 남겼고, 결국 이를 통해 다시 조선을 침탈하는 자본으로 사용한 것인데요.

미쓰이가 어떤 기업입니까. 미쓰비시·신일본제철과 함께 A급 전범기업으로 지목되고 있는 기업이죠. 미쓰이그룹의 계열사 미쓰이광산 등 미쓰이 계열 탄광에만 6만명의 조선인이 강제 징용 됐을 것으로 일본연구자들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탄광은 노동 강도가 심하고 사망률이 가장 높아 조선인 노무자들이 가장 두려워했던 작업장이었다고 합니다. 이런 곳을 일본은 반성은커녕 조선인 강제노역 흔적을 지우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추진하고 있어 그 뻔뻔함이 하늘을 찌르고 있죠. 삿뽀로맥주도 미쓰이그룹 소속입니다.

이런 기업이 사용하던 정관장이란 명칭을 우리나라 대표 홍삼업체인 KGC인삼공사에서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상표” 유포 유튜버 고소… ‘무혐의’

KGC인삼공사는 정관장에 대한 이같은 일제 잔재의 역사를 숨기는 듯하기도 합니다.

홈페이지에 KGC인삼공사는 ‘1908년 홍삼전매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국가 전매사업으로 확정, 인삼재배 및 제조 관리에 근대적 경영기법이 도입되었습니다’로 적고 있고, ‘정관장은 120년 전통의 KGC인삼공사의 홍삼제품 브랜드’라고 소개하고 있을 뿐입니다.

조선총독부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말은 쏙 빼놓고 있습니다.

또 지난 2015년 홍삼판매업자 A씨가 ‘정관장은 1940년 조선통독부에서 세금수탈을 위해 만든 홍삼 상표’라는 내용을 유튜브에 올리자 명예훼손으로 고소까지 합니다. 결국 대법원에서 무혐의 판정을 받았죠.

당시 재판부는 “인삼공사가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용어와 같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정관장’ 상표를 계속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피고인을 고소한 후 자사 홈페이지에서 정관장의 유래에 관한 내용을 삭제했다”며 위법성이 없어졌다고 판단했습니다.

한국인삼공사는 정관장 상표가 일제 경제침탈의 잔재라는 사실을 숨기려고 고소까지 하면서 왜 아직까지도 고집을 할까요?

정관장이라는 브랜드가 너무 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매출에 타격이 올까봐서인가요? 돈 때문에 역사도 숨기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암튼 정관장이 일본자본이 들어간 제품인지는 파악이 안 되지만 일제의 경제침탈 잔재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인 것입니다.

사진=KGC인삼공사 CI
사진=KGC인삼공사 CI

◆대법원 유권해석으로 ‘공사’ 명칭 그대로 사용

여기서 또 하나 KGC인삼공사라면서 ‘공사’라는 명칭 때문에 공기업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사실이 아닙니다.

해방 후 전매청→전매공사→한국담배인삼공사가 됐다가 2002년 정부 보유 지분을 전량 매각해 'KT&G‘로 사명을 바꾸면서 민영화됐습니다. 한국인삼공사(KGC인삼공사)는 KT&G에서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홍삼제조 자회사입니다.

업계에서는 공기업 이미지를 준다며 반기를 들었지만, 지난 2008년 대법원이 ‘공사’ 명칭을 사용 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그대로 쓰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모기업인 KT&G는 외국인 지분 비율이 높은데 배당비율 또한 엄청나 외국인 주주들에게 돈을 퍼주는 것 아니냐는 비난도 동시에 받고 있습니다. 국부유출이라는 것이죠.

KGC인삼공사의 지분은 K&G가 100% 가지고 있기 때문에 KGC인삼공사에서 벌인 들인 돈에 대한 배당은 KT&G를 통해 나간다고 보면 되는데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T&G는 2017~2018년도 당기순이익이 각각 1조1637억5000만원, 9016억5000만원을 기록했습니다. 당기 순이익이 2018년에는 전년보다 줄었지만 현금배당금은 5050억6100만원으로 동일하게 지급합니다. 이에 따라 배당성향 43.4%에서 56.0%로 늘어나게 되죠.

외국인투자자에게 나가는 금액은 비율(46.73%)에 따라 한 해에 2210억1469만원이나 지출됩니다. 매년 외국인 주머니를 충실히 채워주고 있는 셈인데요.

이에 대해 한 누리꾼은 “혹시 (전범기업인) 미쓰이도 지분을 가지고 있지 않나”하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합니다.

글로벌 시대에 외국인 투자는 당연한 것이고 이에 따른 배당금 지출도 당연합니다. 문제는 공사라는 명칭을 쓰면서 외국에 매년 수천억원씩 유출된다는 것은 씁쓸하네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임지안 2023-12-28 10:52:44
그동안 정관장에서 사먹지않은 내자신이 자랑스럽다. 역시 난 보는 눈이 있어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