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일자리… 위기의 대한민국 ‘제조업’
상태바
사라지는 일자리… 위기의 대한민국 ‘제조업’
  • 이경호 기자
  • 승인 2022.02.10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자리 창출률, 2016년부터 하락세 이어지다 2019년에는 ‘마이너스’ 전환
우리나라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비율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사진=펙셀즈
우리나라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비율이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사진=펙셀즈

전국 사업체의 일자리 창출률이 2016년 이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은 물론 수도권의 일자리마저 사라지며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의 지속성장 이니셔티브(SGI)에 따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에서 2016년 이후 일자리 창출률이 하락세를 보였다.

제조업의 경우 수도권 순증가율은 2014년 4.3%, 2015년 2.9%, 2016년 0.7%, 2017년 1.2%, 2018년 0.1%로 2016년 이후 급격히 둔화했다. 특히 2019년에는 마이너스(-0.2%)로 전환했다. 고용 창출률도 2014년 23.0%에서 2016년 16.8%, 2019년 15.1%로 하락세다.

비수도권의 일자리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순증가율은 2014년 3.8%, 2015년 1.6%로 하락 추세를 보이다가 급기야 2016~2018년에는 3년 연속 마이너스를 보였다. 고용 창출률도 2014년 19.4%에서 2016년 13.9%로 하락한 뒤 3년 연속 13%대에 머물렀다.

이는 비수도권의 제조업 고용시장 악화가 수도권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김민정 충남대학교 교수는 “일반적으로 신생 기업은 일자리 확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비수도권의 경우 창업 인프라가 수도권보다 열악해 창업이 저조하고 일자리 창출률 또한 수도권에 비해 낮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서비스업은 제조업과 비교해 일자리 순증가율이 높았다. 서비스업의 일자리 평균 순증가율은 2010~2019년까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 각각 2.9, 3%로 집계됐다. 이는 제조업에서 수도권 1.9%, 비수도권 2%보다 높은 수준이다.

일자리 창출률과 소멸률의 합인 ‘일자리 재배치율’은 수도권의 경우 평균 45.6%, 비수도권은 평균 42.1%로 나타났다.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서비스업 일자리 역동성 또한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높다는 의미다.

서비스업의 일자리 창출률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2016년 이후 둔화했다. 지역 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시장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SGI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고용시장 개선과 지역 균형 발전을 꾀하려면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확대 및 제조업 리쇼어링(국내 복귀) 정책 강화 ▲고부가 서비스산업 규제 완화 및 창업 지원 인프라 확대 ▲초광역권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우태희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융·복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과 지역산업 고도화로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수도권에서는 기업 성장 경로와 산업별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통해 고용창출의 효과성을 높이고, 비수도권 지역은 지역 주력산업과 연계한 창업 활성화를 통해 지역 경제의 역동성을 높여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